![]() |
국내 대기업 가운데 계열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SK 주식회사가 주요 지주사 가운데 주식회사 LG에 이어 다음으로 많은 상표권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는 브랜드 사용료와 함께 배당으로도 지주사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최근 3개월간(5~7월) 대규모 기업집단(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현황에 따르면 SK는 국내 대기업 중 계열사가 가장 많은 기업집단으로 201개를 보유하고 있다.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 공시에 따르면 SK 주식회사는 올해 반기 기준 브랜드 사용수익 1720억 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브랜드 사용료로 총 2830억 원을 챙겼다. 2021년 2225억 원에 비해 27.2% 증가한 수치다.
투자부문을 별도로 두고 있는 SK 주식회사는 자체 수입원이 있어 다른 지주사에 비해 브랜드 사용료 의존도가 심각하지는 않지만 워낙 계열사가 많아 LG 다음으로 브랜드 사용료 수익이 높다.
SK에서는 ‘SK 브랜드’를 사용하는 모든 국내 계열사와 합작법인에서 매출액에서 광고선전비를 제외한 금액의 0.2%를 산정해 브랜드 사용료로 받고 있다.
브랜드 사용료의 경우 산정 기준이 매출액인 만큼 규모가 큰 회사들의 비중이 높다. 다만 브랜드 사용료 등의 가장 큰 수입원인 SK하이닉스가 3개 분기 연속 조단위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올해는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4분기 1조8984억 원의 영업손실을 본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영업손실 3조400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2분기에도 2조8821억 원의 영업손실을 나타냈고 3분기에도 1조7000억 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2021년 사용료를 가장 많이 낸 곳은 618억5000만 원을 부담한 SK하이닉스다. 그 뒤로 SK에너지(329억5900만 원), SK텔레콤(232억7100만 원) 등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계열사들은 그룹 의사결정협의체 수펙스추구협의회 운영비까지 별도 지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SK 계열사들이 2023년 수펙스추구협의회 운영비로 낸 비용은 1018억 원이다.
2013년 공식 출범한 수펙스추구협의회는 SK그룹 내 최고 의사결정협의체다. 각 계열사의 집단지성을 통해 경영전략을 도출하고 최 회장과 소통해 그룹 진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룹 내 주요 계열사들이 분담하는 비용으로 연간 운영비를 충당한다.
올해 브랜드 사용료와 함께 수펙스 운영비를 부담하는 주요 계열사는 모두 분담금 금액을 낮췄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78억 원을 분담했다가 올해는 445억 원으로 금액을 33억 원 하향 지출했다. SK텔레콤은 분담금을 187억 원에서 172억 원으로 15억 원 줄였고, SK㈜ 역시 225억 원에서 209억 원으로 16억 원 덜 냈다.
다만 올해는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사업 부진 등 주요 계열사의 매출 하락으로 브랜드 사용료 등 수익원에 조정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브랜드 사용료 등 계열사에 의존하는 수익의 경우 실적에 따라 변동성이 커 안정적으로 보장받기 힘들다”면서 “SK 지주사의 경우 별도 투자부문이 있지만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영업이익이 약 80%나 감소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