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드라마 ‘무빙’ 연출 박인제 감독 인터뷰

“잘하는 것보다 안 해본 걸 하는 게 더 재밌다”

인터넷뉴스팀 l 기사입력 2023-09-22

본문듣기

가 -가 +

한국형 히어로물 500억 쏟아부었지만 “제작비 부담은 없었다”

 

▲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무빙’ 연출을 맡은 박인제 감독.  

 

“딸이 태어난 게 영향을 미쳤다.” 디즈니+ 드라마 <무빙>을 만든 박인제(50) 감독에게 이 작품 연출을 맡은 이유를 물었다. 박 감독은 두 가지 이유를 꼽았는데, 그중 하나가 “아이가 생긴 것”이라고 했다. “내 딸과 류승범씨의 딸이 같은 해, 같은 달에 태어났다. 촬영을 하는 동안 승범씨랑 아이 이야기를 참 많이 했다.”

 

그도 그럴 것이 <무빙>은 ‘한국형 슈퍼 히어로’를 표방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진지한 사랑 이야기이자 가족 스토리다. 이미현·김두식·정주원·이재만 등은 초능력을 가지고 있어 특별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지만, 자식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모든 걸 내놓을 수 있는 평범한 부모이기도 하다. 킬러 프랭크는 자신이 제거해야 하는 능력자들을 만날 때마다 묻는다. “자식이 있나.”

 

박 감독은 영화 <모비딕>(2011)과 <특별시민>(2017), 드라마 <킹덤> 시즌2(2020)를 만들었다. 말하자면 선이 굵고 상대적으로 음울한 분위기의 작품들이었다. <무빙>은 정반대다. 아기자기하고 대체로 명랑하다. 이처럼 해보지 않은 걸 하겠다고 마음 먹은 건 딸 때문이기도 하고, 말 그대로 안 해본 걸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게 <무빙>을 택한 두 번째 이유였다. 박 감독은 “무조건 새로운 걸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모비딕>은 한국영화에는 없던 기자 얘기였다. <특별시민>도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이후에는 없던 영화여서 한 것이다. <킹덤>도 그랬다. <무빙>도 이런 작품이 없었으니까 한 것이다다. 내가 잘하는 걸 하기보다는 해보지 않을 걸 하는 게 더 재밌다. 나는 아직 미숙하고 배울 게 많은 감독이라고 생각하는데, 안 해본 걸 해야 배울 수 있지 않은가.”

 

<무빙>은 약 500억 원을 쏟아부은 드라마다. 디즈니+가 만든 한국 콘텐츠 중 가장 많은 제작비가 투입됐고, 최근 한국 드라마를 통틀어도 손꼽힐 만큼 규모가 큰 작품이다. 게다가 강풀 작가가 2015년 내놓은 웹툰이 원작이다. 강풀 작품은 웹툰으로서 성공하지 못한 게 없지만, 영화화되면 흥행에 실패하는 징크스 아닌 징크스가 있기도 했다. 워낙에 많은 돈을 쓴 작품이라서 업계에서 <무빙>이 잘 안 되면 디즈니+도 곤란해진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그러나 박 감독은 제작비에 대한 부담은 없었다고 했다.

 

“나는 그냥 메이커(maker) 아닌가. 제작비는 내가 생각할 게 아니라고 본다. 그건 미국에 있는 월트디즈니에서 생각할 문제다.(웃음) 잘 만들면 잘될 거라고 봤다. 그리고 500억 원이라는 돈만 보면 커 보이지만 회차당 금액으로 보면 그렇게 크지 않다. 회당 25억 원을 쓴 것이니까. 오히려 적은 돈으로 이 작품을 완성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박 감독 말대로 <무빙>은 20부작 드라마. 보통 지상파 방송사 드라마가 16부작이고, 스트리밍 플랫폼 드라마는 적게는 6부작에서 많아도 12부작이다. 회당 러닝타임도 지상파 드라마가 70분이라면, 스트리밍 플랫폼 드라마는 40~50분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점점 더 짧은 영상을 지지하고 있다. 유튜브에선 쇼츠가, 인스타그램에선 릴스가 인기다. 그런데 <무빙>은 정반대로 갔다. 박 감독은 “내게는 거의 <모래시계>나 <여명의 눈동자> 같은 드라마를 찍는 정도의 미션이었다”고 말했다.

 

“제작비는 부담이 안 됐는데, 이건 부담이 됐다. 젊은 관객은 스무 개나 되는 에피소드를 본 경험 자체가 없지 않은가. 미국 드라마라고 해도 <프리즌 브레이크>나 <로스트>를 본 세대도 아니니까. 이젠 나 역시도 긴 드라마를 못 본다. 이런 상황에서 이 긴 작품을 진득하게 앉아서 보게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다.”

 

<무빙>은 9월20일 20개의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박 감독에게 가장 좋아하는 장면 하나를 꼽아 달라고 했다. 박 감독은 7회 마지막 장면에서 봉석이 하늘을 나는 장면을 꼽았다. 엄마 미현은 봉석을 날지 못하게 하지만 봉석은 날고 싶은 마음을 주체하지 못해 엄마 몰래 온 동네를 날아다닌다.

 

“이제는 하도 돌려 봐서 그런 감정이 사라지긴 했지만 처음 찍었을 때 이 장면이 정말 뭉클했다. 봉석이 날아가는 게 마치 내가 만든 작품 같았다. 영화를 만들고 싶은데, 자꾸 엎어지고 실패하는 모습만 나왔다. 그런데 또 하고 싶어하는 게 봉석이 날고 싶어하는 것과 비슷해 보였다. 잘 찍었다, 못 찍었다를 떠나서 참 좋아하는 장면이다.”

 

인터넷뉴스팀의 다른기사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band naver URL복사

최신기사

URL 복사
x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주간현대. All rights reserved.